• 글쓰기
    글쓰기
  • 내 글
    내 글
  • 내 덧글
    내 덧글
  • 섹스다이어리
    섹스다이어리
  • 레홀마켓
    레홀마켓
  • 아이템샵
    아이템샵
공지사항
하루 160원으로 더 깊이, 더 오래 즐기세요!
프리패스 회원되기
토크 자유게시판
질투(jealousy)와 부러움(envy), 마음의 골목에서 갈라지는 두 갈래 길  
15
퍼플체어 조회수 : 1559 좋아요 : 0 클리핑 : 0
사람의 마음에는 겹겹의 감정이 있다.
그 중에서도 질투와 부러움은 서로 가장 가까운 자리에서 자주 혼동되곤 한다.
하지만 이 두 감정은 결코 같은 것이 아니다.
마치 나란히 걷는 두 사람이 전혀 다른 목적지를 향하고 있는 것처럼.

부러움은 결핍을 자각하는 시선이고,
질투는 위협을 자각하는 방어다.

누군가의 좋은 직장, 아름다운 연인, 안정된 가정을 보며
‘나도 저런 삶을 살고 싶다’는 마음이 드는 건 부러움이다.
그 사람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것이 나에게도 있기를 바라는
일종의 긍정적 결핍 감각이다.
부러움은 때로 동기가 되며, 성장의 방향을 제시해주기도 한다.
존경과 동경의 그림자가 부러움의 실루엣이기도 하다.

반면, 질투는 조금 더 어두운 영역에서 자라난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다른 이에게 마음을 줄까 두려울 때,
내가 갖고 있는 것을 누군가 빼앗아갈까 염려할 때,
질투는 날카로운 가시처럼 마음을 감싼다.
질투는 “그가 갖는 것이 내 것을 위협한다”는 감정이다.
그래서 질투는 방어적이고, 폐쇄적이며, 때론 파괴적이다.

부러움은 ‘그가 갖고 있는 것을 나도 갖고 싶다’는 소망이고,
질투는 ‘그가 갖고 있는 것을 갖지 못하게 하고 싶다’는 불안이다.
전자는 성장의 방향을 가리키고,
후자는 불안의 그림자를 길게 늘인다.

둘은 언제나 마음속에 공존한다.
특히 사랑 앞에서.
누군가를 사랑할수록, 나의 애정은 독점욕과 뒤섞이기 쉽다.
그래서 우리는 자주 스스로를 시험한다.
‘나는 지금 부러운가, 질투하는가?’

그 차이를 인식하는 순간,
우리는 상대를 향한 감정이
연대인지, 소유인지,
성장인지, 파괴인지
더 선명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성숙한 사람은
질투를 부러움으로 바꿀 줄 아는 사람이다.
상대의 빛을 끄려 하기보다는
자신의 등불을 밝히려 애쓰는 사람이다.
부러움을 동기로, 질투를 성찰로 삼는 사람.
그 사람이야말로
스스로의 감정을 다룰 줄 아는 사람이다.


참고문헌
Buss, D. M. (2000). The Dangerous Passion: Why Jealousy is as Necessary as Love and Sex. Free Press.
Festi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7(2), 117–140.
Gross, J. J. (1998).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271–299.
Parrott, W. G., & Smith, R. H. (1993). Distinguishing the Experiences of Envy and Jealous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6), 906–920.
Smith, R. H., & Kim, S. H. (2007). Comprehending Envy. Psychological Bulletin, 133(1), 46–64.
Van de Ven, N., Zeelenberg, M., & Pieters, R. (2009). Leveling Up and Down: The Experiences of Benign and Malicious Envy. Emotion, 9(3), 419–429.
White, G. L. (1981). Jealousy and Partner’s Perceived Motives for Attraction to a Rival. Social Psychology Quarterly, 44(1), 24–30.
퍼플체어
    
- 글쓴이에게 뱃지 1개당 70캐쉬가 적립됩니다.
  클리핑하기      
· 추천 콘텐츠
 
포옹 2025-06-30 23:12:29
부러움과 질투는 같은 시작점에서 출발한다 생각해요. 질투가 가진 힘이 부러움을 긍정적인 감각으로 수용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고 부러움이 결핍이라면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해 변질될 수 있는 것은 아닐까요. 우리가 느끼는 감각은 이면의 모습이 다 있을테니까요.
퍼플체어/ 맞아요, 질투와 부러움이 같은 출발점?결핍의 자각?에서 시작된다는 말씀에 공감합니다. 결국 중요한 건 그 감정을 어떻게 '해석하고 다루느냐'인 것 같아요. 질투가 부러움으로 전환되기도 하고, 반대로 부러움이 통제되지 않으면 질투로 흐르기도 하니까요. 감정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흐름이라는 점에서, 말씀처럼 이면의 모습을 들여다보는 성찰이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시인과촌장 2025-06-30 15:39:37
참고문헌 중  데이비드 버스의 <위험한 열정, 질투> 라는 책을 비몽사몽간에 읽었을 때 질투라는 감정도 인간 진화 및 생존에  주요한 요인이라고 했던거 같아요. 그래서 폴리아모리가 쉽지 않은 거겠죠?^^
퍼플체어/ 네, 맞습니다. Buss(2000)의 이론처럼 질투는 단순한 감정 그 이상으로, 인간이 짝을 지키고 유전자 생존을 도모하기 위한 본능적 방어기제로 작동하는 면이 있지요. 그런 점에서 폴리아모리는 인간의 본능과 윤리적 이상 사이의 간극을 시험하는 흥미로운 실험 같기도 해요. 저도 그 책을 읽고 ‘질투’라는 감정을 새롭게 보게 되었답니다. :)
보송 2025-06-30 15:18:09
나눈 섹스 많이하눈 놈들이 부러워요 아흐흑 ㅠㅜ
퍼플체어/ 부러우시면 자기성장 동기의 좋은 감정이고, 상대의 파멸이나 고통을 은연 중 바란다면 질투라고 할 수 있겠네요..
1


Total : 38471 (1/1924)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카카오 오픈 단톡방 운영을 시작합니다. (22년2월25일 업데이.. [464] 레드홀릭스 2017-11-05 243752
[공지] (공지) 레드홀릭스 이용 가이드라인 (2025.3.24 업데이트).. [398] 섹시고니 2015-01-16 367407
38469 새벽 [1] new 기르바 2025-08-26 107
38468 나는 내 갈길 간다. 이직 완료. [5] new 홀리데이아 2025-08-26 285
38467 섹스의 중심에서 변바를 외치다 [50] new 섹스는맛있어 2025-08-25 1004
38466 코털 왁싱 받아보신 분? [12] new 키매 2025-08-25 413
38465 점심 머먹지...... [11] new 뾰뵹뾰뵹 2025-08-25 399
38464 이번주도 모두 힘내셔요!! [1] new 김왈라 2025-08-25 301
38463 외모 밸런스 게임 [2] new 비프스튜 2025-08-25 318
38462 저는 나쁜남자입니다. [3] new 변화가큰편 2025-08-25 445
38461 작은 깨달음 new 호프 2025-08-25 232
38460 헤어짐으로 현재까지 힘드신 분이 있다면.. [1] new 신사1982 2025-08-25 407
38459 NTR 성향은 왜 생기는 걸까요? [7] new 짧지만굵게 2025-08-24 581
38458 길이 확대 제품 2주가량 사용 후기 [7] new 비프스튜 2025-08-24 666
38457 일요일이 사라졌어요 [12] new spell 2025-08-24 774
38456 일상의 소중함. [5] new Arcturus 2025-08-24 536
38455 옛날 그 시절 나의 큰 착각 [29] new 자몽주스 2025-08-24 1420
38454 1970년대 원초적 무기 [2] new 시인과촌장 2025-08-24 363
38453 부산 출장 중 사진 ! [3] new 우주남 2025-08-24 778
38452 아 심심하고 무료하다 [1] new Ycyou 2025-08-24 357
1 2 3 4 5 6 7 8 9 10 > [마지막]  


작성자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