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자, “성욕 후 쾌감 아닌, 쾌감 후 성욕”
0
|
|||||||||||||||||||
미국 심리학자가 쾌감 후 성욕을 느끼는 '반응형 욕망'을 주장했다. (사진=속삭닷컴제공) 심리학자, “성욕 후 쾌감 아닌, 쾌감 후 성욕” 성욕장애로 고민할 필요 없어 보통 성욕이 높을수록 성적 쾌감도 크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미국의 심리학자 에밀리 나고스키가 그 반대 과정이 맞다고 주장했다. ‘성욕’은 근대 심리학자 지그문트 프로이드가 ‘리비도’를 제시하며 처음 부상했다. 프로이드는 리비도를 동물이 생존하기 위한 진화의 산물로 봤다. 하지만 나고스키는 “식욕 등 다른 욕구는 채우지 않으면 죽지만, 성욕은 그렇지 않다”고 문제제기했다. 그리고 ‘성욕’ 대신 ‘반응형 욕망’나 ‘즉흥적 욕망’ 개념을 제시했다. 나고스키는 “성적 만족은 성욕 없이도 가능하다. 섹시한 사람이나 야한 사진을 보고 성욕이 생기는 현상이 대표적”이라며 “이것은 즉각적인 욕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남성은 욕구가 생긴 뒤 흥분하고, 여성은 흥분한 뒤 욕구가 생기는 편이다. 따라서 여성의 낮은 성욕을 문제 삼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주장했다. 미국정신의학협회도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지침’에 등록됐던 ‘여성성욕감퇴장애’를 2013년 ‘여성의 성적 흥미·흥분장애’로 변경했다. 문제점을 ‘낮은 성욕’이 아닌 ‘즉각적인 욕망 부족’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반면, 제약 회사들은 여전히 여성의 낮은 성욕을 치료 대상으로 본다. 성욕감퇴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여성용 비아그라 출시가 이어지고 있다. 여성들 사이에서도 성욕 장애로 치료받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나고스키는 “낮은 성욕으로 고민하지 말라. 섹스를 바라는 것(성욕)보다 섹스를 즐기는 것(쾌감)이 중요하다”며 “쾌감을 느낀 후 성욕이 도는 경험이 많아지면, 기존의 성욕 개념도 점차 사라질 것”이라고 바라봤다.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