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읽고 싶은 글 공유합니다
10
|
|||||||||
|
|||||||||
前略
. . . ‘우월감’은 일종의 본능이다. 우월감을 삐딱하게 보기로 하면 무슨 건방진 감정이나 태도가 연상될지 모르겠지만, 미리부터 편견으로 대할 일은 아니다. 우월감은 내가 나를 높이고 귀하게 여기는 마음이다. 우월감이 없으면 자아는 열등감에 지배 당한다. 한 조각의 우월감조차 없이 산다는 것은 너무 맥 빠지지 않는가. 우리가 일반적으로 소중하게 여기는 자부심이니 자존감이니 자기효능감이니 하는 것들이 우월감과 모두 사촌, 육촌 등의 관계를 가지는 감정들이다. 이런 것들 없이 사람이 바람직한 인간으로 발달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성취동기도 여기서 생기고, 도전과 보람도 여기서 생기고, 더 나은 자아를 향하여 나아가려는 의욕도 여기서 생긴다. 그런데 우월감은 아주 민감한 임계점을 가지고 있다. 까딱하면 자부심과 자기효능감은 사라지고, 자만심이나 오만함의 영역으로 넘어간다. 영어 단어 ‘pride’는 자부심, 자랑, 긍지, 자존심 등의 좋은 뜻으로도 쓰이지만, 이것이 지나치면 부정적인 뜻으로 넘어간다. 제인 오스틴(Jane Austin)의 유명한 소설 에서 ‘pride’는 ‘오만’으로 번역된다. 그래서 우리는 이 소설의 제목을 ‘오만과 편견’이라는 제목으로 알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우월감이 좋은 에너지로 작동하느냐 나쁜 에너지로 작동하느냐가 결정되는 경계선은 아주 예민하고 민감하다. 술 마시는 사람들은 잘 이해할 것이다. 술을 마시면서 내가 아직 취하지 아니한 수준에 있는 것인지, 이미 취한 수준으로 넘어가 있는지를 스스로 정확히 안다는 것이 쉽지 않다. 마찬가지로 나의 우월감이 건강한 자존감의 수준인지, 아니면 남들이 모두 싫어할 정도의 오만함의 수준으로 넘어갔는지를 스스로 분간하기는 정말 어렵다. 이야기를 여기까지 끌고 오다 보니, 한 가지 재미있는 현상이 주목된다. 술이 이미 취한 사람일수록 “나 술 취하지 않았어!”라고 반복하여 말한다. 주변에서는 그게 바로 술 취한 증거라고 여긴다. 혹시 우월감도 같은 기전이 작동하는 것 아닐까? 한껏 오만을 드러내면서도, 본인은 알아차리지 못하고 그걸 건강한 자부심 정도로 생각하는 경우가 흔하니 말이다. 02 우월감에도 종류가 있다. 지식이 많은 사람은 지적 우월감을, 돈이 많은 사람은 경제적 우월감을, 힘이 센 사람은 권력의 우월감을 가진다. 지식이니, 돈이니, 권력이니 하는 것들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동시에 세속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서, 이런 걸 너무 밝히면 욕을 얻어먹게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조금의 눈치나 상식이라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런 우월감을 적절한 선에서 숨기거나 억눌러 놓는다. 알아도 잘 모르는 척, 돈이 있어도 별로 없는 척, 권력이 있어도 특별히 잘 난 척하지 않는 것이다. 또 그런 처신을 하는 사람을 인정하는 뜻으로 ‘된 사람.’이라고 한다. 우월감이 발휘할 수 있는 미덕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런데 도덕적으로 우월감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그 우월감을 적절한 선에서 제어하기가 어렵다. 지식이나 돈이나 권력 등은 일정한 정도를 넘어서면, 이런저런 폐해가 생기고 사람들의 지탄을 받는 데에 이르지만, 도덕성은 아무리 많아도 그 자체로는 나쁠 일이 없기 때문이다. “당신은 도덕성이 너무 많아요! 그러니 좀 비도덕적이 되시오.” 이렇게 말할 수 있겠는가? 도덕성은 많을수록 바람직해진다. 그런 면에서 지식, 돈, 권력 등과는 그 본질이 다른 것이다. 도덕성 자체는 그렇다. 그러나 ‘도덕적 우월감’의 차원에서 생각해 보면 여기에도 우월감의 조절은 필요하다. 문제는 지식, 돈, 권력 등의 우월감은 조절이 비교적 유연한 데 비하여, 도덕적 우월감은 조절이 쉽지 않다는 데에 있다. 생각해 보자. 우월감은 상대 쪽의 열등감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지식, 돈, 권력 등에서 우월감을 가진 사람은 그 부문에서 열등감을 가진 사람과 관계를 가지는 상황에서 구체적인 우월감을 맛보거나 행사한다. 우월감의 행사는 열등한 상대를 업신여겨 욕되게 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그것이 숨은 감정으로 작동하든 명시적 언어로 표출되든 우월한 쪽에서 발산하는 모욕의 자질이 들어 있는 것이다. 그나마 지식이나 돈이나 권력은 우월감 발산이 지나쳐도 조절을 기대할 수 있다. 상대의 무지와 빈곤과 연약함에 대해서 연민과 공감을 느끼고, 그 과정에서 자기반성에 이르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그런데 도덕적 우월감은 도덕적 열등감을 가진 사람들과 일상의 인격적 관계를 가지게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대표적인 예가 부부 사이에 생긴 외도 문제를 치료하는 가족 상담 전문가들의 고충에서 잘 드러난다. 외도를 한 배우자는 도덕적으로 과오를 저지른 사람이다. 피해 배우자는 외도를 하지 않았으므로 도덕적 우월감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이때의 도덕적 우월감은 상대를 심판하는 자리, 상대를 징벌하는 자리로 나아가려 한다. 이해가 아니 되는 바는 아니지만, 인간적 관계를 회복하려는 노력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이들 부부 사이의 도덕적 우월감과 열등감은 곧장 상하 관계, 주종 관계로 치닫게 되어서 두 사람의 관계를 인격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자리로 나아가지 못하게 된다. 03 도덕적으로 우월감을 가진 사람들은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정의를 자처하며, 심판자의 심리에 빠지기 쉽다. 적어도 그런 유혹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부도덕한 사람들에게 준열하다 못해 조롱과 모멸을 가한다. 정의롭지 못한 것들에 대한 심판의 소명을 수행하는 것, 그것은 또 다른 도덕적 우월감으로 자아를 강화시킨다. 독한 말로 꾸짖고 신랄하게 비판 풍자한다. 도덕적 우월감은 자기 권위를 스스로 강화하여 홀로 고답해 있으려 한다. 그런 점에서 도덕적 우월감은 좀 막무가내 외눈박이이다. 무의식 중에도 상대의 도덕적 열등감을 내 마음 안에서 타박하고 증오한다. 간음한 여인을 유대인들이 율법대로 돌로 쳐 죽이려 할 때, 예수가 말한다.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여자를 돌로 쳐라.” 도덕적 우월감이 어떤 반성의 기제와 함께 있어야 할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도덕적 우월감은 심판자가 되고 싶은 유혹을 정의심으로 정당화한다. 그럴수록 나도 인간이므로 죄를 지을 수 있다는 각성이 도덕적 우월감 속에 함께 있어야 한다. 나는 절대로 오류가 없음을 전제로 남을 정죄하고 심판하여 정의를 실천하겠다는 도덕적 우월감은 위험하다. 과거 중세 십자군의 과오가 그러했고, 오늘날 일부 종교 근본주의자들의 테러가 그러하다. 더욱 위험한 것은 이렇게 자기 최면을 건 도덕적 우월감은 강한 중독성을 가진다. 심리학자들은 말한다. 모든 중독에는 쾌락의 기제가 스며 있다고. 엄숙한 정의감으로 강화된 도덕적 우월감은 따뜻한 인간적 유머를 만들지 못한다. 유머는 도덕적 우월감보다는 도덕적 안정감을 가진 사람에게서 나온다. 좋은 유머는 우월감을 내려놓을 때 나온다. 이렇듯 우월감 안에 들어 있는 인간의 모순과 한계들을 볼 수 있다면, 이걸 넘어서는 데에도 또한 인간다운 노력이 요청된다. 철학이니 문학이니 역사니 하는 인문학을 진정으로 배우고 가르쳐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겠는가. 출처 http://www.hangyo.com/mobile/article.html?no=78229 박인기 교수 최근의 여러 사건들을 보며 ‘과연 나는 털어 먼지 안 나는 사람인가?’ 하는 생각을 꽤 깊게 했어요. 와중에 위 글을 읽다 보니 이 역시도 어쩌면 무언가에 도취되어 만들어진 일종의 우월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뭐가 됐든 적당선을 지키는 일이 가장 어렵네요. 지금의 태동으로 보다 건설적이고 건강한 담론이 더 많이 오고가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러기 위해 저부터 건강해져야겠고요. 모두 건강하세요.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