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성의날]성별은 남녀 두가지뿐? "여자도 남자도 아닌 사람들 여기 있어요"
0
|
||||||||||
|
||||||||||
호주의 간성(intersex·인터섹스) 단체 ‘인터섹스 인터네셔널 오스트레일리아’가 2013년 만든 인터섹스 깃발. 동그란 원은 정체성과 완전성을 상징한다. 색상으로는 전통적 성 역할의 상징과는 거리가 있는 노랑색과 보라색을 선택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간성 당사자들이 단체를 만들고 행동에 나섰다. 한국인터섹스당사자모임 ‘나선’이 바로 이 단체다. 나선 대표인 ‘중간계’(48·활동명)는 26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국내에 많은 성소수자 단체가 생겼지만 간성에 대해 알리거나 이들을 대표할 수 있는 단체는 없어 아쉬워하다가 직접 모임을 만들게 됐다”며 지난 2월부터 활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처음에는 ‘가입할 사람이 있을까’ 의구심도 들었지만 모임의 존재를 알리자 수 명의 간성 당사자가 곧 모였다”며 “서로가 겪은 일들을 공유하면서 나는 ‘괴물’이 아닌 ‘사람’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간성은 선천적으로 성선(난소·정소)이나 성염색체, 성호르몬, 성기 가운데 하나 또는 다수가 일반적으로 여성·남성으로 구분되는 특질과 다르게 태어난 사람을 일컫는다. 겉보기에 여성과 남성의 성기가 겹쳐져서 태어나거나, 보이지 않지만 몸 안에 난소와 정소가 같이 있는 사례, 염색체는 여성(XX)인데 성기는 남성인 사례, 그 반대의 경우 등 양상은 다양하다. 출생 직후부터 성기 모양을 보고 알 수 있는 사례도 있지만 2차 성징이 일어나서야 알게 되는 경우도 있고, 성인기 이후 이를 알게 되거나 평생 모르고 살아가는 사례도 있다. 부모가 이를 인지하면 대부분 영유아 때 이른바 ‘정상화 수술’이라고 불리는 성기 성형수술을 시킨다. 문제는 이 같은 수술이 위험하고 부작용도 크다는 것이다. 또 이때 결정된 성별이 아이가 나중에 자각하는 성별과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술을 통해 여성 성기를 갖게 된 아이가 자라면서 스스로를 남성으로 자각해도 되돌릴 방법이 없다. ‘나선’에 모인 당사자들도 성기 교정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다. 대부분 어릴 때 수술을 한 사실을 나중에야 알고 큰 충격에 빠졌다고 한다.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면 수술을 받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한다. 이 수술이 육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개인에게 큰 혼란을 가져온다고 당사자들은 말한다. 활동에 나선 당사자들은 간성의 특징을 치료나 교정의 대상으로 봐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여성과 남성으로만 나뉘는 성별 이분법에 맞지 않을 뿐 이것이 질병은 아니라는 것이다. ‘나선’의 중간계 대표는 자신의 성 정체성을 여성도 남성도 아닌 ‘간성’ 그 자체로 받아들이는 것이 가장 편안하다고 말한다. 그는 “성기 모양으로 성별을 규정하는 이분법은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고 사람을 여성, 남성으로만 한정짓고 고착화하려 한다”며 “비전형적인 모습의 성기를 가진 간성의 존재는 성별 스펙트럼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했다. 이어 “간성의 존재는 세상에 다양한 사람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기 때문에 그 존재가 드러나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고 했다. 간성 당사자들은 26일을 ‘간성 가시화의 날’(intersex awareness day)로 기념한다. 이 기념일은 1996년 미국에서 간성 당사자들이 처음으로 공개적인 집회를 연 데서 비롯했다. 당시 집회 참가자들은 미 보스톤에서 열린 미국소아과협회(AAP)의 정기 컨퍼런스에 찾아가 의사들에게 간성 아기들에 대한 성기 성형수술을 하지 말라고 촉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국제앰네스티 등 인권단체들은 간성에 대한 이 같은 수술 관행이 신체가 훼손되지 않을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고 심각한 불임을 초래하기까지 한다며 이를 인권 문제로 다뤄 왔다. 간성의 존재는 그동안 주목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내에는 통계나 연구 데이터가 거의 없다. ‘나선’은 우선 자신의 고충을 말하지 못하고 살아온 당사자들을 최대한 많이 만나는 것을 과제로 삼고 있다. 또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내에 간성이 얼마나 존재하는지 등을 수치화하는 작업도 추진 중이다. 의료계를 상대로는 간성으로 태어나는 아이들이 정체성을 확립하는 나이가 될 때까지 수술을 강요하지 않을 것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벌일 예정이다. 또 정치권에 여성·남성으로만 표기되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에서 성별 코드를 삭제하거나 제3의 성별을 식별하는 코드를 추가하는 법안을 발의하도록 촉구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10261640011&code=940202#csidx37419f2ec6347dc90318d35817efcc2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