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용 비아그라 '애디' 출시로 본 최음제의 역사
0
|
|||||||||||||||||||
영화 [매트릭스] ㅣ남성용 비아그라에 비해 번거롭고 약효 미지수 지난 8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통과한 여성용 성욕증진제 '애디(Addyi)'가 판매되기 시작했다. 핑크빛 알약인 애디는 일명 '여성용 비아그라'로 불리는데, 판매가 시작된 미국에서는 찬반 여론이 팽팽하다. 여성의 행복권과 성 평등 차원에서 긍정적이라는 찬성 의견과, 효과가 미미한 제품이 승인을 받은 것은 제약사의 로비 때문이라는 반대 의견이 맞서고 있다. 미국의 제약회사 스프라우트가 출시한 애디는 남성용 발기부전치료제 비아그라와 마찬가지로 본래는 우울증치료제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연구를 거듭할수록 항우울증 효과보다 여성의 성욕을 키우는 부작용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작용 원리는 전혀 다르다. 비아그라가 혈관 확장에 영향을 주는 것과 달리 애디는 뇌에 작용한다. 즉, 비아그라는 성욕이 있는 남성의 발기를 돕고, 애디는 성욕이 없는 여성의 성욕이나 성 충동을 증진시켜 준다. 애디의 성분인 플리반세린은 뇌신경 전달 물질 중 성욕에 관여하는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그리고 세로토닌의 분비를 조절해준다. 따라서 성욕장애나 성욕감퇴 등에 시달리는 여성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하지만 효과가 즉시 나타나는 비아그라와 달리 애디는 하루 한 알씩 두 달을 복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또한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임상시험 결과, 24주간 애디를 복용한 경우 성관계 횟수가 한 달 기준으로 1회 정도 늘어났고, 성기능 지수와 성 스트레스 척도는 평균 0.3~0.4점 개선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약효 논란에도 불구하고 애디에 대한 기대는 매우 높다. 성욕저하장애를 겪는 여성이 미국에만 200만 명이고, 후천성 성욕저하장애를 겪고 있는 여성이 18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기 때문이다. ㅣ인류가 사랑한 전통적 최음제 '초콜릿' 애디의 출시로 성 기능 및 성욕 촉진제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 인류의 오랜 최음제는 초콜릿이었다. 초콜릿이 최음제로 쓰이기 시작된 것은 고대 로마의 밸런타인 축제 때였다. 당시 연인들은 짝을 맺은 이성에게 초콜릿을 선물했는데, 달콤한 사랑을 나누자는 밀어였다. '유럽의 클레오파트라'라고 불리는 마담 퐁파두르는 틈이 날 때마다 초콜릿을 마셨다. 당시 초콜릿은 요즘처럼 고형(固形)이 아니라 액체였는데, 그녀가 값비싼 초콜릿을 물처럼 즐겨 마신 것은 불감증 치료를 위한 애타는 노력이었다. 초콜릿에 버금가는 최음제는 커피였다. 커피가 최음제로 각광받게 된 것은 에티오피아 왕조를 건설한 메넬릭의 출산 비화에서 비롯되었다. 지금의 예멘 부근에 있었던 시바의 여왕 마케다가 지혜의 상징인 솔로몬을 커피콩으로 유혹해 임신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오스만 제국에서는 남편이 아내에게 커피콩을 충분히 주지 못하면 이혼 사유가 되었고, 반대로 17세기 유럽에서는 과도한 성행위를 요구를 하는 남편에게 커피를 금지해달라는 여성단체의 탄원이 있기도 했다. 상류층의 최음제로 애용되던 커피는 그윽한 향으로 금세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바다를 건너 유럽으로 전파되었다. 현대인들은 하루라도 커피를 마시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중독인 사람들이 많다. 즉, '카페인 중독자'들이 적지 않은데, 카페인 성분은 성기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커피는 하루 1잔 이상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은은한 커피 향에 성기능도 날아가기 때문이다. ㅣ정체불명 대다수 최음제는 부작용 심각 최음제는 영어로는 애프러디지액(aphrodisiac)이라 하는데, 그리스 신화의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aphrodite)에서 온 말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이용되는 것은 '히로뽕'으로 불리는 메스암페타민이다. 1888년 도쿄대 나가요시 교수가 마황(麻黃)이라는 상록 관목에서 발견한 메스암페타민은 1941년 일본의 한 제약회사가 '히로뽕(ヒロポン)'이란 상품으로 판매하면서 유명해졌다. 졸음을 쫓고 피로를 없애는 효과에 착안해 '노동을 사랑한다'는 뜻의 그리스어 'philoponos'에 따온 것으로, '히로(疲勞)를 뽕 하고 날려 보낸다'는 뜻도 있었다고 한다. 이처럼 최음제는 피로회복은 물론이고 성에 대한 두려움과 수치심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는데, 초콜릿으로 시작된 최음제는 사향 같은 동식물의 분비물이나 추출물을 거쳐, 팔미탕이나 음양곽 같은 약제로 이어졌고, 아편으로 절정기를 맞았다. 양귀비즙을 가공한 아편은 우리나라에서도 1960년대까지 가정상비약으로 재배했는데,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흥분제를 비롯하여 캡타곤 같은 마약이 유포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최음제는 정체불명의 약제라 무작정 복용하면 심장 발작 같은 치명적인 부작용을 초래한다. ㅣ최고의 묘약은 침대에서 흘리는 땀 의학이 발달하지 못했던 근세까지 최음제는 막대한 이윤을 챙길 수 있는 노다지였다. 그래서 정체불명·약효불명의 불법 제품이 넘쳐났다. 이탈리아 작곡가가 도니체티가 쓴 희가극 '사랑의 묘약'에는 가짜로 만든 최음제를 사고 파는 해프닝이 연출되는데, 성적으로 효과가 있는 사랑의 묘약은 체취이다. 사람에게는 독특한 체취가 있다. 체취에는 표현할 수 없지만 그 어떤 무엇이 서로를 당기게 하는 자석 같은 힘이 있다. 곤충이나 동물 세계에서 암수가 서로 유혹하고 짝짓기하게 되는 과정에서 고유의 냄새를 풍기는데, 페로몬(pheromone)이라는 물질을 분비한다. 그런데 페로몬이 인간에게도 존재하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페로몬은 성적 자극 시 분비되며 월경 전후 집중적으로 생산되고, 남성들은 테스토스테론의 혈중 농도가 높을 때 더욱 분비되어 남성 체취를 만들어낸다. 과학잡지 <네이처>는 20~35세 사이의 여성 29명을 상대로 연구한 결과, 한방에서 같이 생활하면 서로의 페로몬이 작용하여 생리주기가 비슷해진다는 실험보고를 게재했는데, 부부가 함께 오래 생활하면 성 사이클이 같아지는 원리와 유사하다. 여성들은 배란기 때 페로몬 냄새를 더 잘 맡게 되고 해가 진 후 후각이 더 예민해지는데, 이때 본능적으로 섹스 파트너를 찾게 되고 냄새를 쫓아 상대를 구한다고 한다. 그래서 서양 사람들은 이성 간에 이끌림 현상을 두고 '케미스트리(chemistry)가 있다'고 말하는데, 케미스트리는 '좋은 감정'이란 의미다. 이런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개발된 것이 페로몬 냄새에 가까운 최음용 향수인데, 나름대로 효과가 있어 플레이보이들을 통해 확산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여성에게 가장 매력적인 남성의 체취는 땀 냄새이다. 각종 조사에 의하면 대부분의 여성들이 일에 열중하는 남성의 모습에서 신뢰감을 얻고, 땀에 젖은 몸을 보고 성적 충동을 느낀다고 한다. 이런 이유로 침대에서 흘리는 땀이 최고의 최음제이자 향수라고 할 수 있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