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러브앤드럭스>
파격적인 제목에 이 글을 읽기 시작했다면 미안하지만 이건 책 리뷰다. 물론 이 책의 내용은 당신의 기대치를 만족시켜줄 만하다고 자부한다.
책을 읽는 내내 저 나이에 저런 생각을 했다니, 우리나라에도 이런 사람이 있구나 아니, 나보다 더한 '어른'이 있구나 하는 생각이 끊이지 않을 만큼 충격적인 책이었다. 내가 성과 관련된 것들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열려있다고 자부했던 것들을 처음으로 의심하게 만들었다. 이 책이 성에 대한 나의 유별난 관심을 깊이 그리고 새롭게 바라보게 해주었다고 말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 같다. 저자의 노골적이고 솔직한 표현에 당황스럽기까지 했다.
나는 완전히 편견이 없는 사람이 아니었나 보다. 손톱 페티쉬와 야한여자에 대해 너무나도 일관성 있는 태도로 이야기하는 통에 또 노골적인 제목을 아주 정직한 글자로 박아놓은 통에 바쁘고 지치는 통학길 단지 제목에 끌려 이 책을 집어 열심히 읽었던 나는 내가 들고 있는 이 책에 떨어지는 사람들의 시선이 눈치 보이기까지 했다. (분명 나 혼자만 느끼는 괜한 것이었겠지만...)
성에 대한 무언가를 이야기할 때만큼은 그토록 당당하고 부끄러울 줄 몰랐던 나인데 오랜만에 마광수라는 저자 때문에 극도로 소심해지는 걸 느꼈다. 알고 보니 난 그 사람에 비하면 그리 열린 것도, 그리 솔직한 것도 아니었던 거다. 나 자신한테 실망스럽기보단 '오 의왼데?' 하는 마음이 들면서 왠지 도전의식이 불타오르기도 했다. 물론 다른 책들을 볼 때와는 다르게 저자의 생각과는 다른 생각이 들기도 하고, 반박하려고 마음먹으면 왠지 그럴 수 도 있을 것 같은 여러 가지가 마구잡이로 믹스된 이상한 기분이 들었다.
물론 나와 닮았다 생각한 부분이 많았다. 내가 항상 열망하던 것을 저자는 아주 오래 전 내가 태어나기 전부터 우리 사회가 더 딱딱하고 '유두리없이' 몰아 부치던 그 시절부터 성에 대한 개방과 솔직함, 거기에 자신만의 특유한 페티시즘에 대해서까지 조금의 가식도 없이 이야기해 온 사람이었다. 우리나라의 성에 대한 모순적 태도와 무자비한 보수주의에 대해 저자와 생각이 같았다. 한국은 성과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 좀 더 솔직해지고 좀 더 틀을 깨고 나올 필요가 있다. 무늬만 유교, 무늬만 선비. 그런 것들은 페어플레이도 아닐뿐더러 오히려 모순을 더 부각시킬 뿐이다. 다른 것들은 새로운 시대에 발맞추어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해 가고 있는데 글쎄, 성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여전히 조선이다.
하지만 저자처럼 결혼제도를 없앤다거나 open-relationship 같은 것들을 주장하는 것은 나에겐 그저 극으로 달리는 이야기처럼 들렸다. 사람의 본성이 한사람만 사랑할 수 없다고 그러한 룰 깨버리고 정말 본능적으로만 행동한다면 그건 동물과 뭐가 다를까? 섹스는 그저 동물적인 행위라고 단정 지을 수 있을까? 사랑 앞에 섹스가 온다는 저자의 말은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일 뿐이란 생각이 든다. 어떤 사람에게는 같이 마신 커피 한 잔, 대화 한 마디가 사랑의 계기가 될 수 있듯이 어떤 사람에겐 한 번의 섹스가 사랑의 계기가 될 수 있을 뿐이다. 그건 그 사람이 어떤 가치관, 어떤 취향, 어떤 생각을 가진 사람이냐에 달린 문제이지 모두에게 섹스가 사랑 앞에 온다고 장담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모욕처럼 들릴 수 있겠지만 저자의 지나친 성 예찬 속에서 나는 애정결핍이나 사랑을 믿지 못하는 불쌍함을 느끼기도 했다. 저자의 깊은 내면 속, 사랑할 수 없는 100가지 이유를 모두 다 '섹스' '손톱 페티쉬'와 같은 변명들로 채워놓은 것 같았다. 물론 성적 취향은 존중해야 하고 저자의 성적 취향, 성에 대한 생각을 존중하지만 100% 성, 100% 섹스만 있는 세상은 없다.
그만큼 개방적이지 않아서, 그와 같은 생각이 아니어서 나는 소심해지고 나의 성에 대한 관심에 의문을 던지기도 했지만 책을 읽어나가며 꼭 성에 대한 관심이 어떠한 구체적 형태로서의 성에 대한 애정, 집착과는 다른 것이라는 새로운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나는 제2의 마광수가 될 수 없겠지만 그냥 내 자신이 될 수 있을 것이고 그것만으로도 충분한 의미가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저자와 공감하며, 저자를 반박하며 바빴던 책읽기 였지만 오랜만에 정말 재밌는 책을 하나 읽은 것 같은 생각에 신나고 흥분됐다. 저자와 조금 다른 생각들 속에서도 같은 곳을 향해 열망하고 소리 지르고 있는 느낌이라 자유로웠다. 다른 건 모르겠지만 60살의 나도 그만큼 솔직할 수 있길 바라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