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아이템 | ||||||||||||||||
|
정조대가 외도를 부추겼다
0
|
|||||||||||||||||||
영화 <욕망의 모호한 대상> 아내나 애인이 다른 남자와 바람피우지 못하도록 채웠던 정조대. 하지만 정조대가 합법적인 외도를 부추겼다는 건 참 아이러니하다.
인류 역사상 아내나 딸의 부정을 막기 위해 남성들이 필사적인 노력을 기울인 시기는 십자군전쟁 때다. 원정에 나서기 전 십자군 병사들은 아내나 애인이 다른 남자와 바람을 피우지 못하도록 정조대를 채운 다음 열쇠를 주머니에 넣고 먼 길을 떠났다. 프랑스 의학자이자 작가인 라블레가 쓴 <팡타그뤼엘>에는 '우리들이 집을 나설 때는 반드시 아내에게 벨가모식 자물쇠를 철커덕 잠근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차라리 눈길도 주지 않는 악마에게 잡혀가는 편이 낫다'는 내용이 나온다. 벨가모식 자물쇠는 정조대를 뜻한다. 정조대는 '비너스대' 또는 '이탈리아성'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는데, 정조대의 주요 생산지인 벨가모 지방의 이름을 따서 벨가모식 자물쇠라고도 했다. 기록을 살펴보면 16세기 중엽에도 시장의 잡화상에서 10여 종의 정조대를 팔았다고 한다. 금속 팬티로 사타구니와 허리를 격자 모양으로 견고하게 조이고, 가운데 구멍을 뚫어 소변만 흘러나오도록 고안됐다. 소변 구멍 안쪽에는 부드러운 천을 대 성기가 다치는 것을 막았다. 제조 기술자는 정조대에 맞는 열쇠를 만들어 두었다가 정조대를 사가는 남성의 아내에게 팔았다. 시인 기욤 드 마쇼는 당시의 세태를 다음과 같이 풍자했다. '아름다운 여인 하나가 나를 포옹했네. 그리고 열쇠 하나를 꺼냈네. 이 열쇠를 소중하게 간직해주세요. 왜냐하면 이것은 내 보물의 열쇠. 이것으로 나를 사랑해주세요. 이것이야말로 내가 드릴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랍니다.' 이처럼 상당수의 여인들은 자신의 정조대를 제작한 기술자를 찾아가 열쇠를 새로 맞춰 외도를 즐겼고, 때로는 아이까지 출산했다. 전쟁터에서 돌아온 남편이 "정조대를 차고 있는데 어떻게 해서 아이를 낳았냐"고 질책하면 "예수 그리스도도 남편이 없는 마리아로부터 태어났다"고 천연덕스럽게 대꾸했다고 한다. 그래서 정조대는 순결보호대가 아니라 합법적인(?) 외도를 부추긴 '음란대'라는 오명도 듣고 있다. 중세 유럽에서는 결혼할 때 신랑은 장모에게 오랫동안 간직된 정조대 열쇠를 건네받았으며, 첫날밤 열쇠를 사용해보고 하객들에게 "자물쇠와 문은 무사했다"고 외치는 풍속이 있었다. 이른바 처녀성 확인이었던 것이다. 첫날밤에 신부가 흘린 혈흔을 처녀성이 파열되며 나오는 순결의 꽃이라고 해서 이불을 문밖에 걸어놓고 자랑하는 것과 같은 풍속이다. 그래서 정조대의 열쇠를 갖고 있는 사람은 곧 여인의 보호자이자 지배자였던 것이다. 금속으로 만든 서양의 정조대가 비인간적인 봉쇄형(封鎖形)이라면, 동양의 정조대는 해학적이다. 우리나라 정조대 역시 해학적이다. 어느 마을에 농부가 살았는데, 아내는 천하절색이었다. 하루는 먼 곳에 일이 생겨 집을 비우게 됐다. 농부는 자기가 집에 없는 사이에 아내가 딴짓을 할까봐 몹시 걱정됐다. 고심 끝에 붓으로 아내의 사타구니에 누워 있는 사슴을 한 마리 그려놓았다. 농부가 길을 떠나자 미모에 반해 평소 치근거리던 이웃집 총각이 "제발 원을 풀어 달라"고 하소연을 했다. 농부의 아내는 "그러고 싶지만 그럴 수 없다"며 한사코 거절했는데, 총각이 왜 그러느냐고 하자 "사슴 그림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러자 총각이 "일을 마친 뒤 다시 그려 넣으면 될 거 아니냐"고 꼬드겨 질펀하게 운우지정을 나누었다. 일이 끝나고 여인의 사타구니를 살펴보니 붓으로 그린 사슴 그림이 엉망이 돼 있었다. 그래서 다시 그려놓았는데 기억이 분명하지 못해 멀쩡하게 서 있는 사슴을 그려놓았다. 아내에게 무슨 일어날까 속히 일을 마치고 귀가한 농부가 아내의 사타구니를 살폈다. 누워 있어야 할 사슴이 벌떡 일어나 있고, 없던 뿔도 생겨난 것이 아닌가. 농부가 "이게 어찌된 영문이냐?"고 캐묻자 아내는 천연덕스럽게 "당신은 어찌 세상 이치를 그리 모르시오. 사람도 앉았다 일어서고 키도 크는데 사슴이라고 해서 누워 있기만 하고, 뿔이 영영 나지 않는답디까" 하고 면박을 줬다고 한다.} 대부분의 우리네 여인들은 스스로의 의지로 정조를 사수(死守)했다. 정조를 사수하는 대표적 무기의 하나는 '은장도'였다. 은장도는 음식의 기미를 살피는 것을 비롯해 응급의료도구 등 용도가 다양했다. 갑작스런 겁탈 위험에서 벗어나는 호신용이기도 했다. '아빠가 돌아가신 후에 엄마는 얼굴 화장을 아니 한 것은 물론 색깔 있는 옷이나 비단을 몸에 대는 일이 없었다. 사람들이 자기를 보고 예쁘다고 하면 그런 말을 듣는 것이 죽은 아빠에게 미안하고 무슨 죄라도 짓는 것 같았을 것이다. (중략) 엄마는 저고리 옷고름에 달던 은장도를 밤이면 머리맡에다 놓고 잤다.' 피천득의 <그 날>이라는 수필에 나오는 대목처럼 과거 우리네 여인들은 혼전순결은 물론이고 홀몸이 되어서도 수절을 금과옥조로 여겼다. '일편단심'이라는 글귀를 새겨넣은 은장도를 항시 몸에 가까이 해 몸을 지켰다. 따라서 은장도는 정조에 대한 여성의 주체적인 의지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1000년 넘게 유지되며, 일부 문화권에서는 풍속으로 자리매김했던 정조대가 급속하게 자취를 감추게 된 것은 육체적 처녀성을 여성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덕목으로 여겼던 인류의 정조관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더불어 20세기 들어 등장한 알파걸이 성에 대한 문화와 가치관을 주도한 것도 한몫을 했다. 과거 여성들이 남성들의 유혹과 강압에 의해 처녀성을 잃어버렸다면 알파걸은 스스로의 의지로 처녀성을 내던진다. 알파걸은 남성과 똑같은 조건에서 생활하며 남성보다 모든 면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열정과 재능으로 세상을 향해 도전하는 '파워여성'을 말한다. 미국 하버드대 댄 킨들러 교수의 조사에 의하면 미국 여학생의 20%가량이 모든 면에서 남학생들을 능가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 역시 이런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성적은 물론이고 다방면에서 여고남저(女高男底) 현상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여성들의 성향이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변하면서 순결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했다. 조사에 의하면 85%의 젊은 여성들이 '사랑하는 사람이 원한다면 혼전관계를 맺을 수 있다'고 밝혀 이를 입증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처녀는 천연기념물'이라고 할 정도가 됐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