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아이템 | ||||||||||||||||
|
여성이 지카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한 이유
0
|
|||||||||||||||||||
여성이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속삭닷컴제공)
여성들은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글래드스톤 연구팀은 동물실험 결과 질의 면역시스템이 지카 바이러스 같은 RNA 바이러스를 만나면 억제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항바이러스성 면역 반응이 억제되면 지카 바이러스가 질 속에 남아있고, 이 때문에 임신 중 태아한테 감염될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여성들은 성관계로 RNA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쉬울 뿐 아니라, 감염된 바이러스를 면역시스템에서 제거하기도 어렵다는 것이다. 연구의 책임 저자인 글래드스톤 연구소의 쇼미세 산자비 박사는 이번 연구는 여성들이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이 더 크다는 역학연구를 뒷받침한다고 밝혔다. 특히 여성이 임신 중 감염되거나 감염 과정에서 임신할 경우 억압된 질의 면역반응에 바이러스가 태아에게 전염되는 시간을 더 많이 준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염된 세포는 제1 방어선으로 인터페론이라는 분자를 방출해 바이러스를 공격한다. 특히 인접 세포한테 인체가 위험에 처해 있음을 경고한다. 연구팀은 일부 생쥐를 모기에 물린 것처럼 감염시켰고, 또 다른 일부 생쥐는 질을 통해 감염시켰다. 3일 뒤 나온 반응은 모기에 물린 것처럼 감염된 생쥐들은 강력한 인터페론 반응을 보이고 면역시스템에서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시작했다. 이에 비해 질을 통해 감염된 생쥐들은 여전히 매우 높은 바이러스 수치를 보였고, 인터페론 반응의 징후도 없었다. 연구팀은 “면역의 첫 단계인 인터페론 반응이 질을 통해 감염된 생쥐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인터페론이 없으면 나머지 면역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없고, 이 때문에 몸이 바이러스 감염에 맞서 싸우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라고 밝혔다. 바이러스가 림프조직에 감염될 때만 체계적인 면역시스템이 반응해 바이러스를 통제하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바이러스가 몸의 나머지 부위에서 제거된 뒤에도 질 속에는 지카 바이러스의 흔적이 남아 있었다. 연구팀이 살균제처럼 처방된 염증 치료제를 질에 발랐을 때 인터페론이 질 속에서 방출됨으로써 생쥐들이 지카 바이러스로부터 보호받았다. 약물치료를 받고 질을 통해 지카 바이러스에 노출된 생쥐는 감염된 지 2일 이내에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여성 생식기관의 어떤 특성 때문에 여성들이 RNA 바이러스에 특히 취약하다며 이런 현상이 병원균 자체 방어 메커니즘인지 질 조직의 면역이 문제인지 파악하는 게 다음 연구의 목표라고 밝혔다. 이 내용은 실험의학 저널에 발표됐으며, 의학전문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보도했다. |
|||||||||||||||||||
|
|||||||||||||||||||
|
|||||||||||||||||||
|
|||||||||||||||||||
|
|||||||||||||||||||